분류 전체보기
-
[Cloud] NAT Gateway란? (NAVERCloud에서 NAT 생성과 적용)Cloud 2024. 4. 26. 10:54
지난 글에서 private subnet에 폐쇄적인 서버를 생성하면서 NAT GW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었다! [Cloud] Server생성으로 Cloud기본 이해하기 (NAVERCloud활용)클라우드상에서 VPC, Subnet, Server를 직접 만들고 접속해보면서각종 클라우드 개념(Region, Zone, IGW, NAT....)과 매커니즘을 공부한 것을 기록한다!1. VPC가상의 데이터센터 세운다. (NCloud에서는 최대 3crayeji.tistory.com 위 글에서 DB와 같이 폐쇄적인 서버를 위치시키기 위한 서브넷으로공인IP를 부여하지 않는(=Internet Gateway를 지나지 않도록 한) Private Subnet을 생성했었다. private subnet의 서버는 외부와는 Inboun..
-
[Cloud] Server생성으로 Cloud기본 이해하기 (NAVERCloud활용)Cloud 2024. 4. 25. 12:25
클라우드상에서 VPC, Subnet, Server를 직접 만들고 접속해보면서각종 클라우드 개념(Region, Zone, IGW, NAT....)과 매커니즘을 공부한 것을 기록한다!1. VPC가상의 데이터센터 세운다. (NCloud에서는 최대 3개까지 생성 가능)사용할 IP주소 범위를 CIDR을 적용해서 만든다. 2. Subnet생성과 Network ACL VPC에서 설정한 IP 주소 범위 내에서 방(Subnet)을 나눈다. (Subnet은 NCloud에서 최대 200개)예를 들면 외부 통신용 Room, 내부에서만 쓸 DB용 Room등을 Subnet IP주소 범위를 통해 구분하는 것이다.그러므로 당연히 Subnet IP 주소 범위는(CIDR로 구분했던) VPC보다 작아야 할 것이다.(VPC에서/16까지..
-
[NAVERCloud] root로 직접 로그인을 막자Cloud 2024. 4. 18. 10:57
NCloud로 만들어 둔 서버 web001에 root 계정으로 접속하여 (기본으로 root계정을 주기 때문에)root계정 로그인은 막고, 새로운 유저 student를 생성한 후 로그인하도록 할 것이다.ssh root@공인IP로 접속한 후 아래와 같이useradd student로 student계정을 생성했다.[root@web001 ~]# useradd student[root@web001 ~]# passwd student ROOT SSH 옵션파일(/etc/ssh/sshd_config)에서 #PermitRootLogin yes 을 PermitRootLogin no 로 변경 후 저장하여 루트 로그인을 막겠다.[root@web001 ~]# vi /etc/ssh/sshd_config 아래 명..
-
[React] 리액트 프로젝트 시작과 배포카테고리 없음 2024. 4. 1. 21:17
JSP로 클라이언트 페이지를 구성했을때는, HTML텍스트 사이에 로 동적인 java텍스트를 끼워넣을 수 있었다. 그러나 화면구성과 서버의 역할을 확실히 구분하기 위해, JSP를 화면단의 태그중심으로 리팩토링하고 java텍스트는 최소화한 경험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React는 오직 View를 구성하기위한 라이브러리이다. 이번에는 React를 이용해서 아예 화면단을 화면단에서 JS로 만들도록 해보는 것이다. 리액트 사용법에 익숙해지기 전에, 어떤식으로 리액트 프로젝트를 만들고 배포하게 되는지 큰 그림을 그려봤다! 1. create-react-app 리액트 프로젝트를 하기 위한 셋업. (프로젝트별로 해줌) 이는 npm이 제공하므로 npm install -g create-react-app을 먼저 실행해줬다...
-
[Spring] File Upload 2 - 구현Spring 2024. 3. 30. 17:11
[Spring] File Upload 1 - 개념정리 (MultipartResolver)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해보면서 공부한 Content-Type, Multipart, Spring파일 업로드 등 내용을 정리한다. + SpringBoot를 사용하지는 않았다. 1. Content-Type HTTP에서 request를 보낼 때 HTTPcrayeji.tistory.com이전 글에서 정리한 개념을 바탕으로 구현에 돌입하려고 한다! 1. MultipartResolver 구현체 등록 Multipart타입의 파일을 업로드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구현체인 DispatcherServlet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등록해준다. file size등을 제한하기 위해..
-
[Spring] File Upload 1 - 개념정리 (MultipartResolver)Spring 2024. 3. 30. 11:39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해보면서 공부한Content-Type, Multipart, Spring파일 업로드 등 내용을 정리한다.+ SpringBoot를 사용하지는 않았다. 1. Content-Type HTTP에서 request를 보낼 때HTTP통신에 필요한 정보(url, Header, Body 등)을 세팅했었다. //Apache의 HTTPComponent를 이용해 HTTPRequest를 만들어 보내고, Response받아보는 Testpublic static void getUserTest_Codehaus() throws Exception{ // HttpClient : Http Protocol 의 client 추상화 HttpClient httpClient = new DefaultHt..
-
CLI에서 SpringBoot Building war실행카테고리 없음 2024. 3. 27. 16:17
이클립스에서 SpringBoot를 실행시켜보면 콘솔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pringBoot에서 구동하는 WAS는 Building war에 들어있다. (war는 동적 웹을 압축한 것이니 webapp등을 포함한 프로젝트트 자체가 압축된 것. SpringBoot는 여기에 Tomcat도 embed해준 것이므로 같이 압축되어있다.) 실제로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이 tomcat이 들어있었다. 현업에서는 CLI를 많이 쓴다고하니, CLI로 WAS를 구동시켜보았다 SpringBoot의 Building war로 WAS를 구동한다고 했으므로, 해당 위치에 war가 있는지 먼저 확인한다. C:\workSpringBoot\workspace\00HelloBoot\target 로 이동하고 (00HellowBo..
-
[쇼핑몰 리팩토링] 09 JQuery 도입!!!카테고리 없음 2024. 3. 20. 10:30
오직 JQuery라는 Javascript Framework 사용법을 익히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진행한 리팩토링이다. (Framework는 언제나 양날의 검이다...javascript를 구체적으로 몰라도 쓸 수 있으니까.. 유념하자) JQuery API를 통해 쉽게 script구현이 가능하며, 그 방법은 아래와 같다. Step 1. $()를 통해 JQuery객체화 Step 2. JQuery객체에 API활용 + JQuery를 통해 쉽게 element에 접근하고, API를 적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HTML element의 attribute에, javascript function을 직접 달아주면 javascript와 html이 공존하므로 Coupling이 발생한다. ==> ja..